지구와 지질학/지질학 Geology46 지질학자들의 날 (Geologist Day 2025!!!) 올 해도 지질학자의 날 그러니까 Geologist Day가 돌아왔습니다!!!!2025년은 4월 6일 돌아오는 일요일이네요.주변에 있는 Gelogist 여러분 수고 많으십니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2025. 4. 4. 미얀마는 왜 지진 위험이 높을까? 어제 뉴스에 도배되었던 것 처럼 미얀마에서 규모 7.7의 지진이 발생을 했습니다.덕분에 태국까지도 영향이 있었고 많은 놀랍고 안타까운 장면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국사독재 정부인 미얀마는 이런 참혹한 상황을 제대로 관리할 능력이 없어보이니 피해를 입은 미얀마 국민들의 상황이 안타깝습니다. 아래 USGS (미국지질조사국)에서 작성한 지도에서 보면 이번 발생한 지진의 진앙지는 미얀마의 만달레이(Mandalay)시 서쪽입니다.이 도시 부근에서 보면 거의 7이 상의 강도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미얀마는 전통적으로 지진 발생의 가능성이 높은 나라입니다.이는 지진을 활발하게 발생시키는 약 1,200km 길이인 사가잉 단층대 (Sagaing Fault)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단층대를 따.. 2025. 3. 29. 우크라이나에는 어떤 지하자원들이 있을까? 얼마 전에 티비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툭탁거린 사건이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전쟁을 멈추는 조건으로 혹은 그 동안 미국이 도와준 핑계로 우크라이나에 있는 광물에 대한 권리를 달라는 얘기를 우크라이나에서 탐탁치 않게 생각한 결과죠.이런 것을 보면 나이는 별로 중요하지 않아보입니다. 일단 미국이 제시한 재건 투자에 조건에는 “광물, 탄화수소, 원유 및 가스 (deposits of minerals hydrocarbons, oil, and gas)” 라는 식으로 자기들이 챙길 지하자원을 표현했습니다. 네네 얼추 다 해당됩니다.이 중 미국이 특별히 관심을 가지는 것들은 하이테크 제품에 들어가는 희소광물 (Rare Earth Element)들이라고 합니다. 그러다가 오늘 문득 우.. 2025. 3. 15. 나무들이 나타나기 전에 있었던 거대한 버섯 - 프로토탁사이트 나무가 땅을 덮기 훨씬 전, 지구는 거대한 버섯으로 뒤덮여 있었던 것 알고 계셨나요? 그러니까 4억년 전 실루리아기에는 프로토탁사이트(Prototaxites)라고 알려진 거대한 버섯이 당시 지상에서 가장 키가 큰 생물이었습니다. 높이가 최대 24미터이고, 지름이 최대 3미터에 달하는 엄청나게 큰 버섯이었죠. 분석 결과, 나무와 같은 줄기를 가진 평균 6미터 높이의 이 생물체는 4억년 정도에 출현하여 3억 5천만 년 전에 멸종한 일종의 버섯입니다. 처음에는 이 화석이 침엽수인 것으로 여겨졌지만 지금은 버섯이라는 것이 정설입니다. 이 화석은 나무 줄기와 비슷하지만 나무가 존재하기 전의 화석입니다. 안정 탄소 동위원소 값은 버섯류의 것과 비슷하지만, 화석에는 일반적으로 버섯이 포함된 곰팡이류에서 발견되는 .. 2024. 8. 24. 백금 이야기 어느 날 어머니를 따라서 보석상에 갔다가 ‘백금’이라는 단어를 들었습니다.왜 보석상에 갔었냐면... 효도라고 합니다 -_-;;;그 때까지 당연히 저는 백금은 플래티넘 (Platinum)을 말하는 줄 알았는데 왠지 그런 분위기가 아니었습니다. 가격도 플래티넘보다 저렴했죠. 그래서 알아보니 사람들이 ‘백금’이라고 부르는 금속에는 2 종류가 있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그러니까 플래티넘도 백금이고, 소위 영어로 화이트 골드(White Gold)라고 부르는 것도 백금입니다. 이 둘의 차이는… 그러니까 아에 다른 금속입니다. 먼저 플래티넘은 원자번호 78번인 원소기호 Pt인 자연적으로 생선 된 금속을 말합니다. 화이트 골드는 주로 금과 팔라듐, 니켈 또는 은과 같은 다른 백색 금속으로 만든 합금을 말합니다.. 2024. 8. 23. 다이아몬드보다 더 단단한 광물 그러니까 예전 지구과학 시간에 모오스 경도계를 배우고 있었습니다. 그 때 선생님이 “아아, 이 세상에서 가장 단단한 광물은 바로 다이아몬드라구. 그래서 경도가 10이지. 외워라” 라고 하셨던 말씀이 기억납니다. 탄소로 구성된 다이아몬드는 특유의 결정구조로 인해서 단단함을 가지는 광물이죠. 그러다가 문득 (왜?) 다이아몬드보다 더 단단한 광물이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예전 지구과학 선생님을 믿지 못한 이유는 아닙니다. 비록 그 선생님이 재미없고, 정작 지질학 전공도 아니셨고, 성격도 등등 결국 저는 지구과학을 선택하지 않았기는 하지만서도요. 자자, 다시 단단한 광물로 돌아갑시다 -_-;;; 네 결론부터 말하자면 다이아몬드보다 단단한 광물은 있습니다. 그 녀석은 바로 론스데일라이트(Lonsdalei.. 2024. 8. 14. 황금 이야기 지질학과를 다니는 분들은 뭐랄까 주변 사람들로부터 "자자, 쓸데없는 공부하지말고 금이나 찾아보라구" 뭐 이런 이야기들을 들을 때가 종종 있습니다. 뭐 나쁜 아이디어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만, 저는 결국 평생 금이 아닌 석유나 천연가스르 찾으러 다녔네요.오늘은 왠지 금을 찾아 다니는 선후배드을 생각하면서 금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한번 읽어보세요. 혹시나 지접 우연한 기회에 금을 찾으실 수도 있자나요 -_-;;; 금은 수천 년 동안 인류의 관심을 사로잡은 매혹적인 귀금속입니다. 금(Au)은 광택이 나는 노란색, 부식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면서 가공성이 높은 것으로 잘 알려진 화학 원소입니다. 금은 보석, 전자제품 및 부의 저장 수단으로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금의 형성 다른 많은 .. 2024. 8. 3. 전 세계에서 가장 비싼 오팔(Opal) 버진 레인보우 오팔이라는 보석을 아시나요? 우리나라 말로 단백석(蛋白石)이라고 하는데 영어 이름인 오팔(Opal)로 더 잘 알려진 녀석입니다. 10월의 탄생석이며, 결정이 아닌 비정형으로 산출되는 함수규산염 광물입니다. 네네 광물학적으로말이죠. 참고로 제가 요사이 일하고 있는 호주가 이 오팔의 산지로 유명한데, 오늘 포스팅도 호주산 오팔의 이야기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아름답고 비싼 오팔은 버진 레인보우 오팔(Virgin Rainbow Opal)입니다. 2003년 호주의 쿠버 페디(Coober Pedy)에서 발견된 희귀한 녀석으로 중생대에 살았던 두족류인 벨렘나이트 화석의 골격이 오팔화(Opalization) 작용을 통해서 형성된 녀석입다. 이 버진 레인보우 오팔의 가치는 100만 달러가 넘는다고 하네.. 2024. 7. 6. 지구의 자북 움직임이 빨라졌다고 합니다. 최근 몇 년간 지구의 자북 (Magnetic North Pole) 그러니까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극의 빠른 움직임이 눈에 띄고 있습니다. 원래부터 자북은 지구의 북쪽 그러니까 캐나다와 러시아 근처에서 움직이는 녀석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최근 이 자북이 캐나다 북부에서 러시아를 향해 연간 최대 55킬로미터의 빠른 속도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죠.이 비정상적으로 빠른 속도로 북극 그러니까 자북이 시베리아로 이동하는 현상은 여러 지질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니까 지구의 자북은 항상 움직여 왔지만, 현재의 급격한 이동은 지구의 자기장이 생성되는 외핵 내부의 복잡한 변화와 움직임의 결과로 추정됩니다. 연구자들은 정확한 원인을 완전히 밝혀내지는 못했지만, 지구의 핵 내부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 2024. 7. 6. 이전 1 2 3 4 ··· 6 다음